자동차부품, 배터리에 대해서 (2)
(4) 배터리가 방전 되었을 때 행동 방법
배터리의 점검방법까지 알아보았는데, 그렇다면 방전이 되었을 경우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 지 알아보겠습니다.
- 자동차의 배터리를 확인합니다. 보통 앞쪽 보닛을 열면 보입니다. 하지만 배터리가 뒷자석에 있거나 트렁크 안에 있는 자동차도 간혹가다 있으니 자신의 차에 배터리가 어디 있는지 충전용 단자가 어디에 있는지 미리 확인을 해두어야 합니다. (평소에 배터리에 부착된 점검표시를 수시로 확인을 하여 필요한 경우에 미리미리 교체를 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자동차 배터리가 방전이 되면 시동이 걸리지 않습니다. 그럴 때에 당황하지말고 주변의 차량과 충전 케이블을 연결해서 시동을 거는 방법이 있고, 보험회사를 불러 긴급 출동 서비스를 받는게 좋습니다. 보험사마다 긴급 출동 서비스의 횟수가 정해져 있는 경우가 있으며 충전이 안되는 경우 배터리를 들고 다니니 필요에 따라 그 기사분에게 구매를 해서 교체를 하시면 됩니다.
(5) 배터리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그렇다면 시동은 걸리지만 배터리에 이상이 있을 경우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전조등이 어둡게되거나 계기판 실내등도 어두워 질 수 있습니다.
- 시동을 건 상태로 전조등을 키고 라디오와 에어컨등을 켰다껐다를 했을 때 밝기가 변할경우 배터리에 무언가 이상이 있다는 현상입니다.
- 시동을 걸때 바로 시동이 안걸리고 여러번 반복을해야 걸리는 경우입니다.
- 시동을 켰을 때 핸들 앞쪽 계기판에 불이 들어오는 경우입니다. 아래 사진과 같은 표시가 들어오면 배터리에 이상이 있다는 신호입니다.
(6) 배터리 교체 방법
만약 내가 예비 배터리를 구매해 놨을 경우 어떻게 교체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자동차의 시동을 끕니다.
- 음극 (-) -> 양극 (+) 순서로 단자 케이블을 제거해야 합니다.
- 배터리 하단부에 장착걸이가 있는데 장착걸이까지 너트를 해체 한 뒤 기존 배터리를 제거합니다.
- 구매해 둔 새 배터리의 좌우에 부착된 실리콘을 때어낸 뒤 기존 배터리가 있었던 곳에 장착합니다.
- 기존 배터리를 해체 할 때와는 반대로 양극 (+) -> 음극 (-) 순서대로 단자 케이블을 연결 한 뒤 너트로 체결합니다.
- 시동을 걸어서 배터리가 정상적으로 부착되었는지 확인합니다.
(7) 배터리 점프 (점핑 스타트)
이동중에 배터리를 너무 많이 썼거나, 시동이 안걸리는 위급한 상황에서 쓸 수 있는 방법으로, 다른 차에 있는 배터리에서 전력을 얻어오는 응급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배터리점프 혹은 점핑 스타트라고합니다.
점프 스타트를 위해서는 부스터 케이블이라고 부르는 2개의 케이블이 필요합니다. 빨간색 집게는 양극(+)이고, 검은색 집게는 음극(-)입니다. 비상 사태에 대비 항상 자동차차 안에 상주 해두면 좋습니다. 다른 차에서 전력을 나누어달라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압이 같은 차량에서 받아오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통 승용차는 12V이므로 12V의 배터리를 탑재 한 차량에서 얻거나 줄 필요가 있습니다. 트럭같은 차량은 24V 배터리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배터리 점프를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점프 스타트는 제대로 된 순서가 있습니다. 이 순서를 잘못하면 제품이 고장나거나 감전 될 위험이 있으므로 올바른 순서로 실시하도록 해야 합니다.
- 방전된 차량 배터리의 양극 (+)에 먼저 빨간색 집게를 연결한 뒤 나눠주는 다른 차량의 배터리 양극 (+)에 집게의 반대쪽을 연결합니다. (이때 배터리 단자부에 오염 물질이 있으면 제거하고 배터리가 느슨하게 부착되어 있으면 꼭 조여서 단단히 부착이 되야합니다.)
- 나눠주는 다른 차량의 배터리 음극 (-)부분에 먼저 검정색 집게를 연결한 뒤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음극 (-)에 집게의 반대쪽을 연결합니다.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음극 (-)에 연결 할 때 스파크가 튈 수 있으니 주의해야합니다.)
- 연결이 끝나면 나눠주는 차량의 엑셀을 약간 밞아 몇분 동안 회전력을 높게 유지합니다.
- 방전된 차량에 타서 시동을 완전히 걸지말고 전원만 킨다음 차량의 계기판을 확인한 뒤 시동을 겁니다.
- 시동이 걸렸으면 케이블을 분리해야 하는데 분리할 때는 연결 했던 역순으로 분리해야합니다.
- 배터리 점프로 시동이 걸렸으면 최소 20~30분이상 엔진을 돌려 배터리가 충전이 어느정도 될 수 있게 해야합니다.
방전될 경우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이 됩니다. 밀폐형의 경우 바로 정비소에 가서 점검을 한 후 교체가 필요하면 바로 교체가 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그리고 방전이 잦으면 발전기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발전기에 이상이 있으면 배터리 충전이 안될 수 있으니 제너레이터 점검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영하의 기온에서는
겨울철 영하의 기온에서 배터리 내부의 화학반응이 더디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럴때는 배터리 위에 뜨거운 수건같은 것을 얹어 놓으면 순간적으로 전압이 올라가서 시동이 걸리는 경우가 있으니 영하의 기온일 경우 이 방법을 한번 이용해 보시고 안될 경우 배터리 점프와 같은 방법을 쓰도록 해야합니다.
3. 배터리 수명에 대해
지금까지 배터리의 방전과 충전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그렇다면 방전이 되면 충전을하고 또 방전이 되면 충전을하며 하나의 배터리를 무한대로 쓸 수 있느냐 라고 물으면 답은 아닙니다. 배터리도 수명이 있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이번엔 배터리의 수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배터리의 수명
자동차 배터리의 수명은 차량의 종류, 주로 달리는 도로의 상태, 운행거리, 주행습관 (운전습관) 등에 의해 영향을 받아 딱 잘라 수명이 어느정도다 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교환주기는 50,000 ~ 60,000 km를 주행 했을 때 교환을 해주는 것이 좋고, 기간적으론 대략 3년~4년 사이가 적당한 수명기간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자동차 배터리를 교체한 지 3년이 가까워졌거나 3년 이상일 경우 수시로 확인을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배터리 수명을 줄이는 몇가지 요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엔진회전이 불안전해져 전압이 변동하는 경우입니다. 보통 충전이 부족한 경우에 일어납니다.
- 과도한 전기장치를 추가로하여 부착했을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도 충전이 부족한 경우에 배터리 수명이 줄어듭니다.
- 수시로 에어컨을 틀거나 장시간 에어컨을 사용한 경우입니다. 위와 마찬가지로 충전이 부족하면 배터리의 수명이 줄어듭니다.
- 배터리 양단에 각종 부가장치를 단 경우입니다. 전원 측 (발전기,배터리)에는 전압제어가 불안정해지며 부하 측 (이젝터, ISC모터, EGR밸브)에는 복구 지연으로 RPM이 불안정해집니다.
- 라이트의 성능이 높거나 과도하게 전력을 소모한 경우입니다. 충전이 부족한 경우 배터리의 수명이 줄어듭니다.
- 기타 누전 접지불량으로 인해 전압이 변동하는 겅우입니다. 이 경우엔 과방전에 의해 배터리의 수명이 줄어듭니다.
이 경우이외에도 여러가지 요인들이 있지만 일반적인 경우에 대해서만 알아보았습니다.
(2) 배터리 생산일자 보는 방법
배터리는 유통기한이란건 없고 언제 만들어 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것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배터리는 배터리의 윗부분에 생년월일같이 숫자와 알파벳이 찍혀져서 생산이 됩니다. 제조사마다 방법이 다르긴 하지만 보통 자주써져있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만약 6BR11이라고 적혀있을 경우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맨앞 첫번째 숫자일 경우는 제조일자를 의미합니다.
6BR11에서 6은 제조년도를 의미합니다. 6이라고 써 있는경우 2016년에 제조되었다는 의미입니다.
- 두번째 알파벳은 제조되었던 날짜 중 월 (月)을 의미합니다.
6BR11중 B는 월을 의미하는데, A = 1월, B = 2월, C= 3월, D = 4월, E = 5월, F = 6월, G = 7월, H = 8월이고 이 순서대로 간다면 I = 9월이여야하지만 I는 L과 J하고 혼동할 가능성이 있어서 I라는 알파벳은 안씁니다. 그래서 I를 건너뛰고 J = 9월이되고 K = 10월, L = 11월, M = 12월이 됩니다.
그러므로 6BR11은 2016년도 2월에 제작되었다는 의미입니다.
- 세번째 알파벳은 메이커를 의미합니다.
R은 메이커에서 생산지역 공장넘버를 부여합니다. 그러므로 각 배터리 메이커마다 영어가 다르고, 알파벳이 두글자인 경우도 있습니다.
- 네번째, 다섯번째 숫자는 제조 일 (日)을 의미합니다.
네번째, 다섯번째 숫자인 11은 11일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6BR11은 2016년 2월 11일에 R이라는 공장에서 제조된 배터리를 의미합니다.
'자동차부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부품, 와이퍼에 대해서 (0) | 2019.02.09 |
---|---|
자동차부품, 배터리에 대해서 (3) (0) | 2019.02.08 |
자동차부품, 배터리에 대해서 (1) (0) | 2019.02.06 |
자동차부품, 타이어와 휠에 대해서 (4) (0) | 2019.02.04 |
자동차부품, 타이어와 휠에 대해서 (3) (0) | 2019.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