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부품

자동차부품, 타이어와 휠에 대해서 (1)

by Car Bom 'C' 2019. 2. 3.

자동차부품, 타이어와 휠에 대해서 (1)

 자동차에 대해서, 안전면에서 중요하게 생각되는 파트 중 하나가 타이어와 휠입니다. 타이어는 도로와 연결되는 유일한 제품으로써 인체에 비유하면 신발과 같은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타이어와 휠 중 먼저 타이어 부터 살펴보겠습니다.
 타이어는 다양한 크기와 종류가 있는데, 각각 어떤 특징과 성능이 있을 지. 또한, 교환시기와 체크 포인트 등 다양한 각도에서 확인해 보도록 합시다.

1.타이어의 교체시기 및 선정방법

-타이어의 크기와 적혀있는 숫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타이어 사이즈는 차량마다 정해져 있고, 정해진 사이즈 이외의 것을 장착하면 차량 검사에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버리거나 고장의 원인이되기도합니다. 자신의 차량에대한 타이어 사이즈를 모르는 경우 자동차 설명서를 보시거나, 운전석 문 주변에 스티커가 부착되어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확인해보도록 합시다.

 타이어 크기 표시 방법은 다양하지만 여기에서는 승용차에 장착되는 타이어를 기준으로 일반적인 것을 확인 할 겁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문구가 적혀있는 경우, 어떤 의미가 있을 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예) 215 / 55 / R16 93V

(1) 215는 타이어의 폭

 타이어의 폭은 차량에 장착하고 있을 경우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의 폭을 말합니다. 이 폭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 몸체에서 타이어가 돌출 버리면 불법 개조의 취급이되어 버립니다. 즉, 차검을 할 때 통과 되지 않게되고 심할 경우 벌금까지 물게 될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합니다.

(2) 55는 편평률

 편평률 (flattening) 또는 타원율 (ellipticity)이라고 부르는 이것은 회전 타원체의 편평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타이어의 폭에 대해 단면 부분의 높이 (고무 부분)를 나눈다음 100을 곱한 값입니다. 이 숫자가 클수록 옆에서 타이어를봤을 때 고무 부분이 크게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편평률이 낮으면 고무 부분이 적어 세련되거나 스타일리쉬하게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러나 고무부분이 적은 만큼, 접지면의 충격을 받기 쉬워져서 승차감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3) R은 레이디얼 타이어라는 의미

 레이디얼 (Radial)은 현재 대부분의 승용차에 채용되고있는 타이어의 구조입니다. 트럭과 버스는 바이어스 (Bias)라는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4) 16은 림 직경

 림 직경은 휠 부분이 빠지는 타이어의 중앙 부분을 말합니다. 사이즈의 단위는 '인치'로 표기를 합니다.

사이즈가 맞지 않으면 타이어를 장착 할 수 없습니다.

(5) 93은 하중지수

 하중지수는 한 개의 타이어가 어느정도의 하중을 견뎌낼 수 있는 지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평상시에는 신경 쓸 필요는 없지만, 너무 작은 값의 하중지수를 큰 차에 붙여 버리면, 타이어 손상의 원인이 되어버립니다.


93이라면, 보통 1개의 타이어에서 650킬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6) V는 타이어의 가능한 주행 속도 제한

기호는 보통 L에서 시작, Y까지 타이어에 적혀 있습니다.하지만 L은 120km / h가 한계치이므로 일반 도로를 보통으로 주행하는 분에는 문제 없습지만, 고속도로를 언제 달리지 모르니 그런것까지 생각하면 어느정도 속도에 견딜 수 있는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V는 240Km / h까지의 속도로 주행 할 수 있는 타이어입니다. (규정 조건 하에서의 수치)

그냥보면 모르는 규격들을 자세히보니 그리 어렵지많은 않습니다. 타이어 교체를 할 때, 자신에게 맞는 타이어로 교체하시길 바랍니다.

-타이어 가격과 성능에 대해

 타이어를 판매하고있는 가게에 가면 다양한 메이커와 다양한 크기의 타이어가 판매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커다란 타이어일수록 또는 성능이 높다고 여겨지는 타이어일수록 가격은 비싸집니다.

 그러면, 가격이 싸면 안전면에서 안좋은 건가 라고하면 그런 것도 아닙니다. 비오는 날에 그립 성능과 제동력 등등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지만 운전자가 의식을하고 운전을 하면 괜찮습니다. 그리고 당연한 말이지만 좋은 타이어를 장착했다고 해서 심한 운전을 하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안전 운전을 하는데 성능이 더 좋은 타이어를 달고 있다면 그만큼 안정감이 더 증가한다는 생각이 좋습니다.

-타이어 교체시기

 타이어 교체시기는 우리에서도 어느 정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타이어의 접지면에 홈이 붙어있어 그 홈이 없어지면 교체해야하는 기준으로 봅니다. 그리고 기준은 사람마다 다 다르게 얘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체크하면 좋을 지 알아보겠습니다.

 타이어는 인디게이터라는 것이 붙어 있습니다. 측면에 삼각마크 등으로 표시되어 있고, 그 부분은 보통의 홈보다 얕게 되어있다는 (고무가 돌출하고있는)것이 특징입니다. 이 인디게이터가 눈에 선명하게 보이게 오면 교체해야하는 신호가 됩니다.


 또한, 접지면과 비슷하게 노출이 되어 버린 상태가 되면 (홈의 나머지 부분이 1.6㎜ 이하)매우 위험합니다. 차량 검사에 통과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통상의 제동력을 잃어 버리는 원인으로 연결됩니다. 인디게이터는 항상 체크하고 홈의 남는 부분이 적어지면 빨리 교환하도록 해야합니다.

-타이어 교환 사인 인디게이터 이외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위에서 얘기한대로라면 홈이 남아 있으면 안전한거냐고 하면 또 그런 것만은 아닙니다. 타이어는 고무 제품이므로 시간과 함께 열화 균열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균열이 많아진 타이어는 파열 될 수 있으므로 홈이 남아 있어도 균열이 많다면 조기 교환을 권장합니다.


 그 외, 타이어의 외견이 평상시와 차이가 나거나 이물질이 박혀 있거나 하는 경우에도 당연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불안할 경우는 전문 정비사와 타이어 전문점에서 봐달라고하면 좋습니다.


 타이어 가게에서 차량 명과 연식을 얘기하고 알맞는 사이즈의 타이어를 선택하는 사람이 많을거라 생각합니다. 또는 차검을 할 때 함께 교환하는 사람도 있을겁니다. 가게에 부탁하면 알맞는 항목이 나오는 것은 틀림 없지만 기본적인 지식이있는 사람은 혼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안전을 위해 정기적으로 타이어를 체크하고 공기압을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파손이 되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2. 타이어의 종류

 보통 타이어를 생각하면 어떠한 형태가 가장 먼저 떠오를까요? 오토바이에 달리는 비교적 얇은 타이어를 생각 할 수 있고, 일반 차량의 홈이 많은 타이어를 생각할수도, 레이싱카 같은 매끄러운 외형의 타이어를 생각 할 수 있습니다.

 왜 이렇게 타이어의 종류가 구분되어 있을 지 알아보겠습니다.

-구조에 따른 분류에 대해

 우리가 평상시 사용하고있는 타이어는 레이디얼 타이어 (Radial Tire)입니다. 레이디얼 타이어는 회전 저항이 적고, 연료비를 절약 할 수 있으며, 높은 저항력 등 다양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 사용하고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저속 주행할 때와 핸들 조작, 승차감에 관해서는 바이어스 타이어 (Bias Tire)타입이 뛰어납니다. 바이어스 타이어는 버스와 트럭 등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레이디얼 타이어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며, 교체를 자주 해야 하는 곳에 사용합니다.

(1) 타이어의 구조

 그럼 먼저 타이어는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 지 알아보겠습니다.

  • 트레드(TREAD) 

 트레드는 접지면과 직접 접촉하고 카카스를 보호하는 부분을 가리킵니다. 따라서 내마모성과 내커팅성이 좋아야 하며, 외부충격에 잘 견딜 수 있고 발열이 적어야 합니다. 표면에는 트레드 패턴이 세겨져 있어 구동력, 제동력이 작용했을 때 미끄럼 방지를 하기도 합니다.

  • 카카스(CARCASS)

 카카스는 타이어의 골격을 형성하는 코드 (CORD)층 부분 가리킵니다. 하중을 지지하고 충격과 압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행 중 굽혔다 펴졌다하는 굴신운동에 대한 내피로성이 강해야 합니다.

  • 비드(BEAD)

 비드는 코드의 끝부분을 감아주는 형태로 타이어를 림에 착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벨트(BELT)

 스틸와이어 또는 섬유로 구성되며, 트레드의 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주행시 접지면과의 충격을 감소시키고 접지면에 닿은 트레드 부위를 넓게 하여 주행시 안정성 있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 캡플라이(CAPPLY)

 벨트위의 특수 코드지로, 벨트를 고정시켜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켜주며 벨트의 이탈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사이드월 (SIDE WALL) 

 타이어의 옆부분을 지칭합니다. 카카스를 보호하고 굴신운동을 이용하여 승차감을 좋게하는 역할을 합니다.

  • 숄더(SHOULDER)

트레드의 가장자리 부터 사이드 월의 윗부분까지가 숄더입니다. 외관 및 방열 효과가 좋아야 합니다.

  • 그루부(GROOVE)

 트레드에 패인 홈으로 조종 안정성, 구동력, 제동력을 높이는 기능을 합니다.

  • 에이펙스(APEX)

 비드의 분산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비드가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에이펙스입니다.

  • 체파(CHAFER) 

 림과 코드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여 코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 이너 라이너 (INNER LINER)

 튜브대신 타이어 안쪽에 붙어 있는 것으로, 튜브와 같은 고밀도 고무를 타이어 내부에 붙여 공기압을 저하, 억제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댓글